서울광역여성새로일하기센터가 대방동 서울가족플라자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와이어)--서울특별시여성능력개발원(seoulwomanup.or.kr) 산하 서울광역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서울광역새일센터)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육아와 일을 병행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2025년 경력단절예방 W-ink(윙크)* 캠페인’을 진행했다.
* W-ink: Woman의 W+Link의 ink의 합성어, ‘여성의 경력을 잇는다’는 의미
서울시 내 24개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가 공동 주관하는 ‘W-ink(윙크) 캠페인’은 올해로 4회째며, 이번 캠페인에서는 ‘육아휴직’을 주제로 시민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3월 2일부터 4월 1일까지 서울시 24개 새일센터 및 인근 장소에서 오프라인 방식과 서울우먼업 인스타그램을 통한 온라인 방식으로 함께 진행됐다.
시민들은 육아휴직 사용을 망설이는 이유로 △승진·성과 보상에서의 차별 우려(32.8%)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회사 상사나 동료의 눈치(29.7%) △경제적 부담(23.5%) △커리어 공백 우려(14.0%)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성별에 따라 응답 경향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은 ‘경제적 이유’(29.3%)를, 여성은 ‘커리어 공백’(16.3%)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선택했다. 특히 40대 남성의 경우 ‘경제적 이유’를 선택한 비율이 34.8%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남성의 육아휴직 참여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여전히 여성에 비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이번 캠페인에서 ‘아빠의 육아휴직’에 대한 설문을 함께 진행했다.
그 결과 ‘아빠의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32.9%가 △‘육아휴직을 이유로 한 인사상 불이익 금지’라고 답했다. 이어 △‘대표·임원의 적극적인 지지’(26.9%) △‘육아휴직 의무 기간 도입’(21.5%) △‘대체자 인센티브 등 기업 지원’(18.7%) 순으로 나타났다.
세대별로 보면 20대 남성은 ‘육아휴직 의무기간 도입’을 가장 많이 선택(30.5%)해 육아휴직 사용에 대한 공정한 제도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반면 50대 남성은 ‘대표·임원의 지지’(37.3%)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해 세대 간 인식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광역새일센터 윤성인 팀장은 “육아휴직은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제도지만 여전히 눈치와 차별이라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 존재한다”며 “누구나 자유롭게 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업문화와 사회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밝혔다.
서울광역새일센터는 오는 9월 ‘가족돌봄’을 주제로 한 설문 캠페인을 통해 여성의 경력단절예방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서울특별시여성능력개발원 소개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은 서울시 내 여성발전센터 5개소와 여성인력개발센터 18개소의 총괄·조정·평가·지원 업무와 함께 일자리 기관들의 네트워크 강화, 여성의 일자리 창출과 취업, 창업 촉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는 서울시의 여성 일자리 총괄기관이다. 일하고 싶은 여성, 일하고 있는 여성 모두를 위한 여성 일자리 핵심 플랫폼으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며 여성들이 마음껏 일할 수 있는 서울시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