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뉴스와이어가 제공합니다.
뉴스와이어 제공

휴머니젠, 급성이식편대 숙주병 대상 렌질루맙의 효과 평가 위한 임상 연구 협력 발표

휴머니젠, 영국 전역의 IMPACT 줄기세포 이식 센터에서 잠재적인 등록 및 임상 2, 3상 연구 위해 버밍엄 대학교 지원 예정
‘급성 GvHD의 위험맞춤치료법(Risk Adapted Therapy, RATinG)’ 연구, 2022년 상반기에 시작할 예정

2021-11-22 13:40 출처: Humanigen, Inc.

벌링게임, 캘리포니아--(뉴스와이어)--자사 주력 후보 약품인 렌질루맙을 통해 사이토카인 폭풍이라고 불리는 면역 과민 반응의 예방 및 치료에 주력하는 임상 단계 바이오제약사 휴머니젠(Humanigen, Inc., Nasdaq: HGEN)이 영국 국내에서 줄기세포 이식 환자 대상의 혁신적 연구를 전달하는 세계적인 수준의 임상 가속 네트워크인 IMPACT와 동종조형모세포이식(allogenic HSCT) 후 급성이식편대숙주병 초기 치료에 렌질루맙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2상 및 3상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IMPACT는 영국 혈액골수이식학회(British Societ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및 버밍엄 대학교(University of Birmingham) 산하의 암임상연구센터 영국지부와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연구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이른바 RATinG 연구로 불리는 임상 연구의 안전성 시범 실험은 2022년 마무리될 예정이다. 해당 연구는 IMPACT 측에서 부분적으로 자금 지원을 받으며 휴머니젠이 렌질루맙을 비롯해 나머지 자금 지원을 도맡아 제공할 예정이다.

크리스티 NHS 신탁 재단(Christie NHS Foundation Trust)의 줄기세포이식 연구팀 팀장을 맡은 아드리안 블루어(Adrian Bloor) 교수(MA, MB BChir, PhD, FRCP, FRCPath)는 “IMPACT와 협력 관계 구축을 통해 줄기세포 이식 환자 상태 개선에 전념할 예정이다. 급성이식편대숙주병(aGvHD) 관리는 줄기세포 이식 과정에 대한 연구 중 아직까지 중대한 연구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분야에 해당하는데 휴머니젠과 IMPACT 측이 이번 협력 관계 구축으로 aGvHD 고위험 환자군 대상의 치료적 접근법을 내놓을 계획이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렌질루맙은 면역 신호전달 단백질의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인자(GM-CSF)를 중화하는 효과가 있는데 GM-CSF의 경우 aGvHD의 동인이자 조형모세포이식(HSCT)을 받은 전체 환자군의 30~50%에서 발생해 미제의 연구 목표로 남아있는 면역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모습을 보인 인자에 해당한다. *1, 2

카메론 듀란(Cameron Durrant) 휴머니젠 CEO는 “영국의 줄기세포 이식 임성 파트너십 기구인 IMPACT와 협력 관계를 구축해 RATinG 연구 지원을 통해 동종조형모세포이식(allogenic HSCT) 후 심각한 스테로이드 불응 aGvHD를 겪는 환자들을 구제하기 위한 잠재적 치료법으로 부상하는 렌질루맙의 효능을 평가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급성이식편대숙주병 맞춤치료방침(aGvHD Risk Adapted Therapy, 속칭 RATinG) 연구

급성이식편대숙주병 맞춤치료방침(RATinG) 연구는 동종조형모세포이식 후 급성이식편대숙주병(aGvHD) 진단을 받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렌질루맙의 효과를 평가하는 실험이다. 본 임상 실험은 영국 전역의 이식 네트워크에 소속된 연구소 최대 22개소에서 두 단계에 걸쳐 수행될 예정이다. 임상의 첫 번째 단계는 안전성 및 효능, 무용성 중간 평가를 위해 연구를 일시 중단하기 전까지 20명의 환자에게 렌질루맙을 투여해 렌질루맙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는 단계가 될 것이다.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Data Monitoring Committee)에서 두 번째 임상 단계로 넘어가도 된다는 판단을 내리면 최소 2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될 이중맹검 1대1 무작위 연구인 두 번째 단계로 넘어갈 예정이다. 2차 중간 분석은 초기 150명의 대조군 환자를 대상으로 28일간의 추적 관찰 후 무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에서 계획됐다.

aGvHD 임상 진단 이후 7일 이내에 연구진은 Mount Sinai Acute GvHD International Consortium (MAGIC) 바이오마커를 통해 대상 환자들의 스테로이드 불응 aGvHD 위험성을 측정하게 된다. 중위험군과 고위험군은 첫 번째 임상 단계에서 스테로이드가 첨가된 렌질루맙을 투여받을 것이며 그 중 무작위로 추첨된 환자군을 대상으로 두 번째 임상 단계에서 스테로이드 첨가 렌질루맙이나 스테로이드 첨가 위약을 투여할 예정이다. 첫 번째 약물 투여 이후 28일 차에 반응율을 측정하게 되며 등록 및 무작위 추출 이후 6개월 차에 1차적 목표치인 비재발성 사망율을 측정할 예정이다.

◇렌질루맙

렌질루맙은 특허받은 휴머니어드 신약 단일 클론 항체로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M-CSF) 중화 효과가 입증됐고, GM-CSF는 과민 면역 캐스케이드에서 중요한 사이토카인을 지칭한다. 종종 사이토카인 분비 증후군(CRS) 혹은 사이토카인 폭풍(CS)으로 불리고 코로나19 및 다른 적응증을 동반한다. 렌질루맙은 GM-CSF에 작용해 이를 중화시키고 결과적으로 코로나19로 입원한 저산소증 환자의 상태를 호전시킨다. 휴머니젠은 GM-CSF 중화가 과민 면역 캐스케이드 가능성을 낮추고, 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CAR-T) 치료와 급성이식편대숙주질환(aGvHD)에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이토카인 분비 증후군 가능성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한다.

CAR-T에 관해 렌질루맙은 적정용량 투여 시험에서 성공적으로 특정 1차 목표를 달성했으며 해당 시험은 예스카타와 병행한 임상 2상 시험에서 전반적인 반응률이 100%였다. 중증 사이토카인 분비 증후군이나 중증 신경독성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휴머니젠은 무작위 다중심의 잠재적 등록 가능성을 가진 렌질루맙 임상 2상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임상 2상 시험을 통해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에 사용되는 CD19 CAR-T 치료법과 병행 시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또한 렌질루맙은 동종조혈모세포이식(HSCT)을 진행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이식편대숙주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렌질루맙 치료제 연구는 RAS 경로 변이를 보이는 만성 골수단구성 백혈병(CMML) 환자군을 대상으로도 준비되고 있다. 해당 연구는 휴머니젠이 진행해 RAS 변이가 GM-CSF 중화에 민감한 이상증식 기능과 연관돼 있다는 결과를 도출한 임상 1상 연구에 기반해 이뤄질 예정이다.

◇IMPACT

IMPACT는 영국 전역에서 임상 실험을 전파해 줄기세포이식 환자들의 상태를 개선한다는 일념으로 결성된 다기관 협력체다. 앤써니 놀란 재단(Anthony Nolan)과 영국 백혈병 협회(Leukaemia UK), NHS 혈액이식협회(NHS Blood and Transplant)가 공동으로 IMPACT의 자금을 지원한다. IMPACT의 목표는 임상 실험 준비 및 실험 참여 환자군 모집, 데이터 공유를 위해 여러 이식 센터가 협력하는 것을 촉진해 과학적 연구 발전을 통한 혜택을 환자들에게 안겨주는 것이다. 해당 협력체는 영국 전역의 이식 센터 다수가 줄기세포 이식에 초점을 둔 임상 실험을 전파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IMPACT는 11개소 센터의 연구 간호사에 대한 자금 지원을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11개소 연계 센터와 협력하는데 이들 연계 센터 또한 IMPACT의 연구에 참여한다. IMPACT의 연구는 버밍엄 대학교 산하 암임상연구센터 영국지부(CRCTU)에 위치한 중심 허브에서 구성돼 진행된다.

◇버밍엄 대학교

버밍엄 대학교(The University of Birmingham)는 세계 100대 기관에 이름을 올린 대학교로 150여 개국 출신의 6500명 이상의 국제 교류 학생과 연구진, 교수진을 포함해 다양한 인물이 버밍엄 대학교의 연구물에 끌려 버밍엄대학교로 향한다.

미래예측진술

이 보도자료에 포함된 모든 진술은 역사적 사실을 제외하고는 모두 미래예측진술에 해당한다. 미래예측진술은 미래 성과 혹은 사건에 대한 경영진의 현재 지식과 가정, 판단, 기대를 반영한다. 경영진은 그런 진술에 담긴 기대가 합리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기대가 현실로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으므로 실제 상황이나 결과는 이들 미래예측진술의 내용과 크게 다를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될 것이다’와 ‘기대된다’, ‘의도한다’, ‘계획하다’, ‘잠재적인’, ‘가능성 있는’, ‘목표’, ‘가속하다’, ‘이어가다’, 이 외 유사한 표현들은 미래예측진술에 사용되며, 해당 진술 내용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된다: aGvHD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렌질루맙의 잠재성에 대한 진술문, 코로나19 입원 환자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렌질루맙 치료제의 사용법, 영국에서 코로나19 환자 대상 렌질루맙 치료제의 조건부 판매 승인을 획득하고자 기울이는 자사의 노력을 서술한 진술문, CAR-T 및 기타 합병증에 렌질루맙을 적용하고자 하는 자사의 계획, 기타 렌질루맙에 관련된 자사의 계획이다.

미래예측진술은 회사의 수익성 부족과 사업 성장을 위한 추가 자본 필요성에 내재한 위험, 약물 후보 물질을 추가 개발하기 위한 파트너 의존성, 신약 출시 및 필수 규제 승인 또는 허가 및 획득과 개발에 내재한 불확실성, 계류 중인 소송이나 미래 소송 결과, 휴머니젠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정기 제출하는 최신 연례 보고서 및 분기 보고서의 ‘위험요인’ 세션과 그 밖의 내용에 기술된 여러 위험 및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지만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모든 미래예측진술에는 일체의 보장이 주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 경고 언급을 통해 분명히 드러나 있다. 미래 사건을 예측할 때 미래예측진술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각 상황에서 별도로 법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 한 자사는 미래예측진술에 담긴 내용이 현시점 이후의 사건 혹은 상황을 반영하도록, 신규 정보 혹은 예측하지 못한 상황의 발생을 반영하도록, 실제 벌어진 상황이 미래예측진술의 예측과 다른 이유를 반영하도록 별도의 개정이나 내용 추가를 해야 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

휴머니젠(Humanigen, Inc.) 개요

임상 단계 바이오제약사인 휴머니젠(Humanigen, Inc., Nasdaq: HGEN)은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라고 불리는 면역 과민 반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렌질루맙(Lenzilumab)은 과립구대식세포 증식인자(GM-CSF)와 결합해 이를 중화시키는 혁신 신약 항체다. 임상 전 모형 결과에 따르면 GM-CSF는 사이토카인 폭풍과 관련된 다수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의 상위 조절인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유행 초기에 이뤄진 연구에서는 T 세포를 분비하는 GM-CSF의 높은 수치가 발병도 및 중환자실(ICU) 입원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휴머니젠의 라이브 에어(LIVE-AIR) 임상 3상 시험 결과, 렌질루맙을 조기에 투여받은 코로나19 입원 환자는 본격적인 사이토카인 폭풍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머니젠은 향후 렌질루맙 치료제 마케팅 승인을 획득하기 위한 사전검토를 위해 영국 의약품규제청(MHRA)에 모든 자료를 제출한 상태다. 휴머니젠은 CD19를 표적으로 하는 CAR-T 세포 치료법과 연관된 사이토카인 폭풍의 치료제로서 렌질루맙을 개발 중이며 알레르기성 조혈줄기세포이식(HSCT)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급성 대숙주성 이식편명(GvHD)과 호산성 천식, 류머티즘 관절염 등 기타 염증성 질환에도 렌질루맙이 효과를 보일지 연구하고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휴머니젠 웹사이트와 링크트인, 트위터, 페이스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참고 자료

1. 가트란(Gartlan, K.) 외 공저 (2019). 이식자 T 세포 유래 GM-CSF는 위장관 내 수지상 세포에 의한 동종 항원 태위의 동인으로 작용 Blood Advance 지, 3(19), 2859-2865. https://doi.org/10.1182/bloodadvances.2019000053

2. 제이저(Zeiser, R.)및 블라자르(Blazar, B.) 공저 (2017). 급성이식편대숙주병의 생물학적 발달 과정 및 예방, 치료법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7(22), 2167-217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034180/#!po=38.235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