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0 기술패권 경쟁의 중심, 2025년 AI 시스템반도체 기술, 시장 전망과 유망기술 개발 전략’ 보고서 표지
서울--(뉴스와이어)--산업조사 전문 기관인 씨에치오 얼라이언스(CHO Alliance)가 ‘트럼프 2.0 기술패권 경쟁의 중심, 2025년 AI 시스템반도체 기술, 시장 전망과 유망기술 개발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둘째 날에 ‘스타게이트’라는 새로운 민간 합작 투자를 발표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 초기 자본 투자는 소프트뱅크, 오픈AI, 오라클, MGX이며, 초기 기술 파트너는 Arm,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오라클, 오픈AI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미국 내에서 최대 20개의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며, 첫 투자금은 1000억달러에 이르고, 2029년까지 5000억달러까지 늘어날 계획이다.
이는 AI 상용화에 따라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이터 처리량을 수용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에서 미국의 선도적 지위를 강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최근 급성장하는 AI 시대에서 AI 반도체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IDC는 ‘전 세계 반도체 기술 공급망 인텔리전스(Worldwide Semiconductor Technology Supply Chain Intelligence)’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재료, 파운드리, IC 설계, 반도체 장비, 공급업체 분석, 반도체 산업에서의 지정학적 영향 등을 조망하며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이 2025년에 15% 이상 성장한다는 전망을 발표했다.
AI와 HPC(High-Performance Computing)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성장을 견인하고,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등 반도체를 필요로 하는 주요 산업 부문에 이르기까지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업그레이드되면서 반도체 산업도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보고서는 2025년 반도체 시장에서 예상되는 8가지 트렌드로 △AI 주도 빠른 성장 △아·태지역 IC 설계 시장 가열 △TSMC 파운드리 1.0과 2.0 산업의 계속적인 지배 △첨단 노드에 대한 강력한 수요와 파운드리 확장 가속화 △성숙한 노드 시장 워밍업, 용량 가동률 75% △2나노 기술의 중요한 전환점 △패키징 및 테스트 산업 재편 △고급 패키징을 꼽았다.
AI가 주도하는 빠른 성장은 메모리 부문이 주도하면서 24%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AI 가속기에 필요한 HBM3(High Bandwidth Memory 3), HBM3e 등 고성능 제품과 2025년 하반기에 출시될 차세대 HBM4가 시장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했다. 비메모리 부문도 서버용 고급 노드 IC, 하이엔드 휴대전화 IC, WiFi7 등의 수요 증가로 13% 성장을 예측했다.
이러한 가운데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기술개발뿐 아니라 미중간에 격화되는 기술 패권 경쟁으로 촉발된 공급망 재편의 중심에서 다양한 기회와 위기가 공존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이며, 반도체 제조 강국인 우리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어 미국뿐 아니라 대만과 중국 일본 등 경쟁국이 반도체 패권 경쟁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빠르게 진행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적인 지원 정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당사는 최근의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주요 기술 이슈와 시장 전망, 기업 동향과 개발 전략 등 반도체 시장의 전반을 조망해 반도체 산업의 전문 중소·중견 기업에 적합한 유망 분야의 기술개발 전략을 소개하고자 본서를 출판하게 됐으며, 모쪼록 본서가 관련 분야 종사자와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씨에치오 얼라이언스 소개
씨에치오 얼라이언스는 산업 정보 전문 출판 서비스 기업이다. 국내외 산업 정보를 조사, 분석하고 유망 분야를 발굴해 이를 관련 기업에 서비스한다.